■스펙
ASRock B250M PRO4 (이하ASRock B250M Pro4)는 이전 세대에서 가장 인기가 높았던 ASRock B150M Pro4를 계승한 7세대 카비레이크
대응 메인보드입니다. 카비레이크(7세대)가 스카이레이크(6세대)보다 큰 발전이 없어서 아쉬움을 남겼으나 ASRock B250M Pro4는
B150M Pro4보다 의미있는 발전이 있습니다.
메인 컬러가 블랙 & 화이트로 디자인이 좋아졌고 인텔 옵테인을 지원하는 듀얼 M.2 소켓과 USB 3.0 Type-C 를 지원하여 확장성이
커졌습니다. 그리고 메모리 속도는 2,400MHz 까지 지원하여 성능도 좋아졌습니다. 또한 LGA 1151 소켓을 사용하기때문에
카비레이크뿐만아니라 스카이레이크도 지원합니다.
ASRock B250M Pro4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●Intel 7세대 프로세서 지원
●Intel 옵테인 지원
●Ultra M.2 소켓 x2
●듀얼 채널 DDR4 메모리 슬롯 x4
●PCI-E 3.0 x16 슬롯 x2
●전원부 6페이즈
●유리섬유 PCB
●과전류,정전기 보호 시스템
■박스 , 구성품
메인보드 기본색상이 흰,검 인만큼 박스 디자인도 이에 따릅니다. 전면엔 흰색 바탕에 상징적인 검은색 P가 인쇄되어 있습니다.
리뷰에 사용된 유통사는 에즈윈으로 3년간 무상보증을 제공합니다.
후면엔 전기적 특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4-Layer Memory Pool 기술, 듀얼 Ultra M.2 , ELNA 오디오 커패시터, Intel Lan ,
트리플 모니터 지원, Intel 옵테인 메모리 지원, HEVC 10bit 코덱지원 , USB Type-C 지원, Digi 파워등의 ASRock B250M Pro4의
특성이 프린팅되어 있습니다.
박스는 2층 구조로 윗면엔 메뉴얼등의 부속품이 있고 아래엔 메인보드가 있습니다.
구성품은 ASRock B250M Pro4 본체, 사용자 메뉴얼, 드라이버 CD, I/O 백 패널, SATA 케이블 x2, M.2 나사 x2 입니다.
■외형 , PCB 구성
화이트 I/O 쉴드와 화이트 라인으로 흰,검을 구성합니다. 개인적으로 화이트 시스템을 구성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.
PCB는 유리섬유로 단락과 습기에 강합니다.
6페이즈 Digi 파워로 안정적으로 전압을 관리합니다.
소켓은 LGA 1151로 카비레이크(7세대)는 물론 스카이레이크(6세대)도 지원합니다.
DDR4 2채널 4 DIMM 슬롯으로 최대 64GB까지 확장 가능합니다.
최대 동작 클럭은 2,400MHz 이지만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에서는 2,133까지 지원됩니다.
PCI-E 3.0 x16 슬롯은 AMD 크로스 파이어를 지원합니다.
그런데 만약 PCI-E 3.0 x1 슬롯이 사용중이라면 Ultra M.2 1번 슬롯은 최대 16GB/s로 작동됩니다.
인텔 옵테인을 지원하는 최대 32Gb/s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Ultra M.2 커넥터입니다.
*M.2 1번 포트 사용시 SATA3 0번 포트는 비활성화 됩니다.
*M.2 2번 포트는 NVMe 인터페이스 M.2 장치만 지원됩니다.
*B250 칩셋은 Raid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
화이트 I/O 쉴드로 ASRock B250M Pro4 디자인을 강화하고 정전기로 부터 기기를 보호합니다.
전원부는 5K 솔리드 커패시터가 사용되었고
오디오부위의 ELNA 오디오 전용 커페시터는 I/O 쉴드에 의해 보호되고 있습니다.
방열판 아래 B250 칩셋이 있습니다. 방열판 디자인도 B150M pro4에 비해 좋아진 것 같네요.
SATA 3.0 포트입니다. Ultra M.2 1번 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SATA 3.0 0번 포트는 동작하지 않습니다.
PS/2 마우스 ,키보드 포트
D-SUB 포트(1920x1200 @60Hz)
HDMI 포트(4096x2160 @24Hz / 3840x 2160 @30Hz)
DVI-D 포트(1920x1200 @60Hz)
USB 3.0 포트 x3
USB 3.0 Type -C 포트 x1
USB 2.0 포트 x2
Intel 1219V Gigabit LAN 포트
Realteck ALC892 7.1채널 HD 오디오 포트
■부속품 장착
i7 7700k와 GeiL Super Luce 메모리를 사용했습니다. 화이트 램과의 조화도 괜찮네요.
■UEFI
기본적으로 이지모드와 고급모드로 되어있습니다. 고급모드의 배격은 상징인 P 가 있습니다.
UEFI BIOS는 이전 리뷰인 ASRock B250M Performance와 대동소이 하기 때문에 B250M Performance 자료로 갈음합니다.
http://blog.naver.com/phoen7/220924932094
기본적으로 영문 이지모드로 시작하며 우측상단 언어모드를 선택하여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좌상단에 사용중인 CPU와 DRAM이 표시되면 XMP를 지원하는 메모리라면 간단하게 프로파일을 불러 올 수 있습니다.
고급모드는 메인 / OC 트위커 / 고급 / 도구 / H/W 모니터 / 보안 / 부팅 / 종료로 구성됩니다.
메인에는 사용중인 시스템의 간단 정보가 표시됩니다.
OC 트위커- CPU 구성을 통해 터보모드나 전력관리 기술인 Speedstep 등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DRAM 구성은 XMP설정이나 DRAM 주파수 , 램타이밍등을 조절 가능합니다. DRAM 주파수는 2400까지 가능하지만
스카이레이크 CPU에서는 2133까지만 지원됩니다.
전압구성으로 세부전압도 조절 가능하지만 NON 오버클럭인만큼 자동만으로도 충분합니다.
고급 - CPU 구성으로 하이퍼쓰레딩(i7 경우)이나 전력관리 기술인 C1E 기술등을 선택가능합니다.
칩셋구성으로 내장, 외장 GPU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■마치며...
ASRock B250M Pro4는 다나와 최저가 113,000원 정도로 이전 B150M Pro4에 이어 여전히 판매량 1위(다나와 기준)를 달리고 있습니다.
이 인기의 이유는 밸런스 잡힌 성능에 좋은 가격 경쟁력 때문입니다. 이전 리뷰인 B250 Performance와 비교하면 전원부, PCI-E 3.0 슬롯,
방열판 LED 등이 다운그레이드 되었고 AURA RGB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 하지만 그만큼의 가격차이로 인해 절대적인 가성비를 얻었습니다.
시스템을 구성할 예산은 언제나 제한되어 있기때문에 가성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. 그래서 이전 세대(6세대) 메인보드 부분에서는
ASRock B150M Pro4가 항상 우선순위에 있었지만 이제는 ASRock B250M Pro4가 그것을 대체할 것 같습니다.
'CP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혁신의 시작 AMD RYZEN7 1700 서밋릿지 (0) | 2017.10.07 |
---|---|
BIOSTAR RACING B250 GT5 (0) | 2017.03.02 |
ASRock B250M Performance 메인보드 (0) | 2017.02.01 |
인텔 6세대 스카이레이크 i7-6700 (vs i5-6600K) (0) | 2016.12.11 |